전체 글7170 올림픽공원 가을 이야기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424구(지번) 주소방이동 88-3 에 있는 공원 올림픽 공원은 1988년에 서울 올림픽 대회를 개최하기 위해 만든 공원이다. 2023. 10. 16. 해오라비사초 사초과의 한해살이풀 꽃은 6~9월 피며 잎 아랫부분이 하얗게 변해 꽃처럼 보이지만 꽃잎은 없고 꽃술과 씨방이 있다. 꽃방동사니라고도 하며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2023. 10. 15. 노랑어리연 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7∼9월에 지름 3∼4cm의 노란색 꽃이 오전에 피기 시작해 오후 해지기 전에 시든다. 잎은 지름이 5~10㎝로 난형 또는 원형인데 밑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물 위에 뜨는 잎은 수련 잎과 비슷하게 윤기가 난다. 2023. 10. 15. 아마존빅토리아수련 수련과의 수생 여러해살이풀 꽃은 여름철 저녁에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 또는 엷은 붉은 색이지만 2일째 저녁 때에는 차츰 변하여 짙은 붉은 색이 된다. 꽃의 지름은 25∼40cm이고 꽃잎이 많으며 향기가 있고 2일간 핀 후에 3일째는 낙화한다. 잎의 표면은 편편하고 광택이 있으며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고 잎 뒷면과 엽병, 꽃대, 꽃받침에는 많은 가시가 있다. 2023. 10. 10. 흰좀작살나무 마편초과의 낙엽관목 꽃이 8월에 연한 자색으로 핀다. 열매는 10월에 흰색으로 익으며 둥근모양이다. 2023. 10. 10. 나도바랭이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꽃은 8월에 피고 꽃차례는 장상으로 갈라지며 10개 정도의 꽃대축이 있고 길이 3~8cm이며 녹색이고 곧게 선다. 줄기 높이 20~50cm이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퍼진다. 장상으로 퍼지는 화서와 긴 까락으로 인해 외형 자체가 독특하다. 2023. 10. 10. 활나물 콩과의 한해살이풀 꽃은 7∼9월에 청자색으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달리고 뒷부분에는 잔털이 많이 나 있다. 산과 들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2023. 10. 9. 소래 습지 생태공원 농게 수컷의 한쪽 집게다리는 암컷과 같으나 다른 한쪽은 커서 집게길이가 50mm에 이르며 큰 집게다리는 붉은빛을 띤다. 농게 수컷과 암컷 암컷의 양 집게다리는 작고 대칭을 이루며 집게발가락은 길고 숟가락모양이어서 개펄에서 먹이를 긁어먹기에 알맞다. 달랑게과의 갑각류 서해 갯벌에서 많이 서식한다. 2023. 10. 9. 인천 드림파크 야생화공원 아름다운 풍경 속에 다양한 색채로 마음의 풍요로움을 느끼는 아름다운 계절 가을입니다. 인천광역시 서구 거월로 61 드림파크 야생화단지 기존 쓰레기매립지를 활용해 야생화단지로 재탄생시킨 드림파크 야생화단지 원래 연탄재 야적장이었던 부지에 야생초화원, 자연학습 관찰지구 등 5개의 테마로 조성된 대규모 야생화 단지이다. 2023. 10. 9. 애기누운주름잎(덩굴해란초) 현삼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꽃은 5~9월에 연한 자주색이나 보라색으로 피며 꽃부리는 길이 9~15mm, 꽃뿔은 길이 1~3mm이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9개로 얕게 갈라지며 둥글거나 삼각형이며, 갑자기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없다. 남유럽이 원산지 2023. 10. 7. 흰꿀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백색으로 5~7월에 피고 꽃차례는 길이 3~8cm로서 꽃이 밀착한다. 흰꿀풀 너무나 늦게 만난 안타깝습니다. 2023. 10. 7. 석산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9∼10월에 붉은 색으로 피고 잎이 없는 비늘줄기에서 나온 길이 30∼50 cm의 꽃줄기 끝에 달린다. 2023. 10. 7.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