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170 창덕궁 와송 10월 말에 창덕궁에서 만나 와송 너무나 늦게 찾아갔는데 그래도 한송이가 피어 있네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9월에 흰색으로 줄기 아랫부분에서부터 피며 점차 위쪽으로 올라간다. 와송은 지붕의 기와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소나무 꽃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023. 11. 7. 도깨비바늘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꽃은 황색으로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늦여름에서 가을에 핀다. 열매는 긴 바늘모양이며 끝에 창모양의 까락이 달려있고 까락에는 밑을 향한 가시같은 털이 있어 물체에 잘 붙는다. 전국의 약간 습한 길가나 공터에서 자란다. 2023. 11. 6. 가시박 열매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꽃은 7~10월에 피고 암수한그루이며 수꽃은 연녹색으로 총상화서로 달리고, 암꽃은 두상화서로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여러 개가 뭉쳐서 털 같은 가시로 덮여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지이고 1980년대 우리나라에 수입된 외래식물이다. 2023. 11. 6. 줄사철나무 열매 노박덩굴과의 상록관목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녹색이 도는 흰색, 지름 7mm쯤이다. 열매는 둥글고, 붉게 익으면 4갈래로 갈라져서 씨가 나온다. 2023. 11. 5. 캥거루 출산 직후에 새끼는 앞발만을 이용해 육아낭 속으로 기어올라간 뒤 육아낭 속의 젖꼭지에 달라붙어서 자란다. 임신기간는 30~40일이며 태반이 없으므로 조산을 한다. 크기는2.5cm몸무게는 1g으로 출산한다. 2023. 11. 3. 서울 대공원 홍학 홍학의 먹이인 게와 새우 등 갑각류에는 아스타신이라는 붉은 색소가 있다. 처음 태어났을 때에는 회색이지만 먹이를 먹으면서 붉은색 깃털이 나온다. 홍학은 긴 다리, 긴 목, 분홍색 깃털을 가진 새이다. 2023. 11. 3. 댑싸리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 꽃은 연녹색의 작은 꽃이 7~8월에 핀다. 가을이 되면 잎도 줄기도 선홍색으로 물든다. 유럽 및 아시아 원산이다. 2023. 10. 26. 꿈의 물결(한강 빛섬축제에서) 2023. 10. 21. 참빗살나무 열매 노박덩굴과의 낙엽 소교목 꽃은 5~6월에 연한 녹색이며 지름은 10mm, 4수성이고 지난해 난 가지에 3~12개씩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4개의 각이 지며 10~11월에 홍색으로 익고 4개로 갈라지면서 붉은색의 종자가 나온다. 2023. 10. 18. 콩배나무 장미과의 낙엽관목 꽃은 흰꽃이며 4-5월경에 피고 짧은 가지끝에 5-9개가 모여 달린다. 열매는 지름 1.0-1.5cm로 둥글고, 10월에 녹갈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2023. 10. 18. 둥근잎유홍초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잎은 심장상 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하며 밑부분의 양쪽 귀 밑이 뾰족한 각으로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다. 2023. 10. 17. 해국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빛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가 달린다. 겨울에도 상단부의 잎은 고사하지 않고 남아 있는 반상록 상태다. 2023. 10. 16.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