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170

죽절초 열매 우리꽃식물원에서 홀아비꽃대과의 상록 활엽수 꽃은 양성화로 6~7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며 꽃잎과 꽃받침 없으며 수술과 암술이 1개씩 있다. 열매는 구형으로 붉은색을 띠는데 10~12월에 익는다. 제주도에 드물게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는 식물입니다. 2024. 3. 12.
개모밀덩굴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8∼10월에 가지 끝에 여러 개의 꽃이삭이 달린다. 꽃이 필 때쯤 잎의 한 부분이 붉은빛이 되기도 한다. 줄기는 길게 벋으면서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치며 덩굴 모양이 된다. 우리꽃 식물원에서 2024. 3. 11.
화야산 너도바람꽃 화야산을 선택한 것이 행운인 것 같습니다. 눈 속의 너도바람꽃을 만나는 기쁨은 말할 수 없이 좋았어요.... 추운 눈 속에서 활짝 웃는 모습이 예뻐서 보고 또 보고 하였습니다. 미나라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 풀 꽃은 3~4월에 피며 백색이고 꽃대는 길이 1cm 정도로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2024. 3. 10.
호자나무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 꽃은 4월~5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1.5cm로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린다. 화관은 끝이 4갈래로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많다. 열매는 핵과로 빨간색이며 둥글고 지름 5m로 11월 혹은 이듬해 9월에 성숙한다. 줄기에 0.5~2cm의 긴 가시가 있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다. 2024. 3. 10.
홍천조(안산식물원) 장미과의 식물 2024. 3. 9.
해미읍성,공세리 성당(2024년2월10일) 해미읍성 조선 전기, 충청남도 서산군 해미면에 있는 돌로 쌓은 읍성 1491년(성종 22)에 축조된 것으로, 둘레 1,800 m, 성 높이 5 m, 성 안의 넓이 196,381m 2이다. 1866년, 해미읍성에서도 천 명이 넘는 천주교 신자들이 죽임을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서울 합정동에 있는 절두산 기념관과 함께 대표적인 천주교 성지로 불리고 있다. 공세리 서당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는 천주교 성당 1894년 한국 천주교회에서 아홉 번째이자 대전교구에서 첫 번째로 설립된 성당이다. 1922년 9월에 현재의 고딕 양식의 서양식 성당 완공했다. 병인박해 때 목숨을 바친 32명의 순교자들을 모시고 있다. 2024. 3. 8.
덕수궁 광명문 중화전 덕수궁의 정전으로 국가의식을 거행하거나 조회를 열던 곳이다.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석조전 돈덕전 덕수궁 석조전 뒤편에 있는 서양식 2층 건물로, 외국 공사를 접대하는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준명당 준명당과 즉조당과는 복도로 이어져 있다. 즉조당 석어당 정관현 함녕전 고종의 침전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덕흥전 외국사신이나 대신을 만나는 접견실 중화전 드므 : 궁궐 정전과 같이 중요한 건물 네 모서리에 방화수를 담아 놓는 그릇을 말한다. 목조건축은 불에 약하기 때문에 화마를 막기 위해 상징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덕수궁은 처음 월산대군의 집터였던 것을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거처로 사용하면서 궁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광해군 때에 경운궁이라는 궁호를 붙여 주웠는데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뜻에서 덕수.. 2024. 3. 7.
덕수궁 돌담길 그 옛날 덕수궁 돌담길 노래를 듣다 보면 한번쯤 덕수궁 돌담길에 가보고 싶었는데....... 이제야 덕수궁을 구경하고 걸어 봅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산책하고 있네요. 덕수궁 돌담길 보행자를 위해 보도와 차도 공존도로 및 푸르름이 가득한 가로공간인 녹도의 개념을 복합적으로 도입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례로 길이는 900m이다. 덕수궁 돌담길 비 내리는 덕수궁 돌담장 길을 우산 없이 혼자서 거니는 사람 무슨 사연 있길래 혼자 거닐까 저토록 비를 맞고 혼자 거닐까 밤비가 소리 없이 내리는 밤에 밤도 깊은 덕수궁 돌담장 길을 비를 맞고 말없이 거니는 사람 옛날에는 두 사람 거닐던 길을 지금은 어이해서 혼자 거닐까 밤비가 하염없이 내리는 밤에 2024. 3. 5.
붓순나무(화성 우리꽃 식물원) 붓순나무과의 상록관목 꽃은 녹백색으로 4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지름 2.5-4cm로 향기가 있다. 열매는 8~12조각으로 배열하며 9~10월에 익는다. 2024. 3. 4.
우이천 원앙 오리과의 조류 수컷은 여러 가지 색깔의 늘어진 댕기와 흰 눈썹선이 특징이며, 부리는 붉은색, 꼬리의 셋째날개깃은 은행잎 모양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부리는 검은색이고 눈 주위와 그 뒤로 흰색 줄이 있다. 수컷의 번식깃은 매우 화려하지만 번식기가 아닐 때에는 암컷과 비슷하고 부리색의 차이로 구분된다.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24. 3. 3.
예산군 수덕사,서산시 간월암,서산버드랜드(2024년2월9일)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숭산(德崇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말에 창건된 사찰 우리나라 4대 총림의 하나인 덕숭총림이 있으며, 많은 수도승들이 정진하고 있다. 수덕여관 이응노화백의 암각화 수덕사 칠층석탑 석탑은 수덕사 대웅전 앞에 있으며 1930년 수덕사 주지였던 만공(滿空:1871∼1946) 선사가 세웠다. 수덕사 삼층석탑 고려시대의 석탑 대응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고려 충렬왕 34년 1308년에 건립되었고 정면 3칸 측면 4칸인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간월암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작은 암자로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송만공 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서산9경 스탬프투어 중에 (해미읍성,개심사,가야산,서산 용현리마애여래삼존상,간월암) 5경을 하여 뜸부기쌀 받았습니다... 2024. 3. 1.
큰여우콩 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포는 길이 2.5~3.5mm이다. 열매는 10월에 붉은빛으로 익으며 겉에 잔털이 있고 종자는 검은빛이고 2개씩 들어 있다. 2024. 2. 28.